[철학] "노답" 정치의 비루함 : 성완종, 박근혜, 이완구 ... 부끄러움을 모른다. 뻔뻔하다... 무책임함의 극치다. 게다가, '문제해결'능력도 없어 보인다. 이 정치가 존재하는 의미는 도대체 뭘까?... 그저 밥그릇 뿐, 세월호 1년, 성완종 게이트, 중남미 순방길, 총리 사퇴설... 표류하는 (좌초하는?) 대한민국호의 선장은 탈출한 마당, 알아서 또 '각.. 단테일기 2015.04.21
마지막 TV 토론, 투표를 해야 하는 이유 . . . TV 토론이 선거에서 갖는 중요성은 이제 모두가 공감할만하다. 토론이 보편화되어야 그만큼 조직 동원이나 금품 등이 개입할 소지를 줄이므로 선거의 진화과정에 있어서도 이제는 필수불가결한 요소로 자리를 잡은 셈인데, 선관위의 이해못할 룰에 따라 이번 대선의 TV 토론은 한편.. 단테메모 2012.12.17
점심... 주마간산처럼 읽어낸 <안철수의 생각>, ... 예상대로 (또는 예상밖이게도) 지극히 '상식적'인 그다. 소담스럽고 점잖게 쏟아낸 주제들 거개가 오늘날 대한민국을 둘러싼 뜨거운 화두들, 그래서 잘 압축하고 요약/정리한 듯하다... 그리고, 대뜸 떠오른 생각은 딱 상식의 '한계'만큼이 아쉬움이며, 상식을 복원해낸만큼이 반가움이.. 단테일기 2012.07.20
어느덧 다가온 총선, - 지난 10일에 극적으로 타결한 야권연대 협상, ... 달력을 넘기다 보니 어느덧 총선 시즌이다. 불과 얼마전까지만 해도 18대 국회에 대한 성토를 퍼붓던 게 생생한데 벌써 임기가 만료되어 이제는 19대 국회를 구성하기 위한 지역구와 전국구 의원들을 선출하는 자리, 지난 총선에서 한나라.. - 단테노트/철학노트 2012.03.13
승리의 다짐, 2012년 * 김광석 - 사랑이라는 이유로 (Live) ... 이렇게 고색창연한 연하장을 올려놓고 글을 쓸 수 있는 시대가 오려면... 적어도, 2012년에는 어떤 형태로든간에 (게다가 그게 실제로 진보든 보수든간에) 민주주의가 올곧게 다시 설 수 있는 큰 기회이자 중대적 역사적 기로임을 인식하고, 모.. - 단테노트/철학노트 2012.01.01
6·29 MSN 3.0 : * '87년 6월 항쟁 ... 기실, 이미 역사가 된, 그 '87년 6월 항쟁의 실질적인 승리의 날인 오늘, 장마가 시작됐고 기억 속에서도 이미 잊혀져가는 사진 한장, 굳이 꺼내놓고 쳐다보는 연유도 또한 오늘도 명동 한복판에서 시위하는 대학생들과, 역시 모든 정치의 화두인 내년 대선과 합종연횡과 그럼.. - 단테노트/철학노트 2011.06.29
[인물][정치] 손학규 Jongno : * [유튜브] 손학규, ... 어쩌면 이 '종로학파'라는 이름도 이제는 '명동' 쪽으로? 아무튼, * [유튜브] 촛불집회 인터뷰 중에서, ... - 용산 참사 현장에서 ... 민주당의 새 대표로 선출된 손학규 전 대표는 이미 대권구도의 한 중심축이다. 비록 한나라당 출신이라는 크나큰 멍에가 그에겐 가장 큰 정치.. - 단테노트/철학노트 2010.10.06
[인물][정치] 단병호 Jongno : * [철학][정치] 100분 토론 중에서, 노회찬, ... MBC 100분 토론, 내가 가장 즐겨 보던 프로그램, 10년 특집에 나와 여전한 촌철살인을 보여주다...... * [철학][정치] 지방선거, 그때 그, 그리고 심상정, ... ... 만일 지금 이 시점에 대통령 후보로 누굴 뽑을 것인가 하는 질문이 있다면 단언코 유시민이 첫.. - 단테노트/철학노트 2010.10.03
순수함은 과연 정치에서 사라지는가 그랬다. 이번 지방선거에서 최대 피해자는 당연코 군소정당들이었다. 양당구도 속에서 그들의 목소리는 보수와 진보를 막론하고 모두 대세론에 파묻혀버렸으며 10%도 안되는 득표율로 초라한 성적표를 받아야만 했던 굴욕적 경험이었다. 특히 군소 보수집단들이야 뭐 따로 할말은 없겠어도, 이른바 '.. - 단테노트/철학노트 2010.06.09
정치인에 대한 혐오감 "모든 일상은 정치의 지배하에 있다"는 말을 믿듯이, 내 일상의 주변에서도 자주 정치 지향적인 사람들을 뜻하지 않게 마주칠 때가 있다. 그때마다 내가 겪게만 되는 이 거부감은 정작 그들 자신의 권력욕보다도 그들을 지배하고 있는 <이데올로기>에 대한 혐오감인 경우가 훨씬 더 많다. (통상 내.. 단테일기 2010.06.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