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단테공부/- 시집

[책][문지] 002. 마종기 - 안 보이는 사랑의 나라

단테, 2017. 7. 29. 22:16


  

  

...

 

 

※ 가장 눈에 띈 블로그, http://tumco.tistory.com/766

  

기실 기억도 잘 나지가 않아 인터넷에서 '문지시인선 2'를 검색하는 데 꽤나 애를 먹었다.

마종기, 이제야 기억이 난 그 이름은 그래도 한 시대를 풍미한 거장의 이름일진대... 세월이 흘렀을까.

문학회 시토론 때마다 오히려 지나치도록 자주 들락거리며 언급된 이름 탓에 지겹기까지 했던 이름,

그동안 내가 잃어왔던 이름들은 또 얼마나 많을까도 새삼 생각해보게 된다.

    
   

... 

 

  
바람의 말

   
    
우리가 모두 떠난 뒤
내 영혼이 당신 옆을 스치면
설마라도 봄 나뭇가지 흔드는
바람이라고 생각지는 마.

 

나 오늘 그대 알았던
땅 그림자 한 모서리에
꽃나무 하나 심어 놓으려니
그 나무 자라서 꽃 피우면
우리가 알아서 얻은 모든 괴로움이

 
꽃잎 되어서 날아가 버릴 거야.

꽃잎 되어서 날아가 버린다.
참을 수 없게 아득하고
헛된 일이지만
어쩌면 세상 모든 일을
지척의 자로만 재고 살 건가.
가끔 바람 부는 쪽으로 귀 기울이면
착한 당신, 피곤해져도 잊지 마,
아득하게 멀리서 오는 바람의 말을. 
    
        

...

 

  

<해설> - 정끝별·시인 

 

 

   바람을 생각하는 일이란 마음이 울렁거리는 일이다. 바람 불면 그곳이 어디든 따라 나서고 싶고, 바람 들면 온몸이 저절로 살랑살랑 나부끼게 되고, 바람나면 불타는 두 눈에 세상 보이는 것 아마 없으리. 바람을 생각하는 일이란 사무치는 일이다. 빈자리를 어루만지는 부재와 상실, 추억과 그리움으로 가슴이 시리고 뼛속까지 시리리. 그리고 바람을 생각하는 일이란 '참을 수 없게 아득하고 헛된 일'이다. 물처럼 세월처럼, 시작도 없고 끝도 없고 지나고 나면 흔적도 없으리.

 

   삶이, 사랑이, 시(詩)의 말이 바람이라고 생각한 적 있다. 바람(願)이라서, 바람(風) 같아서 간절한 것들이다. 이 시를 읽노라면 간절하게 그리운 부재가 떠오르고, 간절하게 따뜻한 배려가 떠오른다. 몸을 떠나 영혼으로 떠돌며 사랑하는 사람 곁을 지키던 영화 '사랑과 영혼', 그 애틋한 바람의 영혼도 떠오른다. 서로 떨어져 있어도 사랑의 괴로움, 사랑의 피로까지를 함께하는 바람의 마음. 그렇게 따뜻한 바람이라면 '가끔'이 아니라 매일매일 바람 부는 쪽으로 귀 기울이고 싶다. "목숨을 걸면 무엇이고/ 무섭고 아름답겠지./ 나도 목숨 건 사랑의/ 연한 피부를 쓰다듬고 싶다"('성년의 비밀')

 

   이 시는 조용필이 부른 '바람이 전하는 말'의 노랫말과 흡사하다. 물론 이 시가 5년쯤 먼저다. 의사이기도 한 마종기(69) 시인은 고희를 앞두고도 여전히 젊고 댄디(dandy)하다. 어떤 선입관과 고정관념과 권위로부터 자유롭다. 동화작가 마해송과 우리나라 최초의 서양 여성 무용가 박외선 사이에서 일본 도쿄에서 태어났다. 서울에서 성장해 의과대학 재학 시절 시인으로 등단한 후 미국으로 건너가 40여 년간 방사선과 전문의로 지내며 시를 써왔다.

 

   그는 올해로 시력 49년을 맞는다. 투명하면서 울림이 깊은 그의 시에 유난히 위로받고 행복해하는 마니아들이 많다. 오롯한 그리움과 따뜻한 진심이 느껴지기 때문이리라. 누군가 말했다. 그의 시는 '맹물' 같다고. 어느 날 마시면 상쾌하고 시원하고, 어느 날은 목이 메고 어느 날은 아무 맛도 나지 않는다고. "나는 이제 고국에서는/ 바람으로만 남겠네"('산수유')라는 그의 최근 시의 구절이 떠오른다. "착한 당신, 피곤해져도 잊지 마"라는 이 '아득하게 멀리서 오는 바람의 말'과 함께. 그는 '안 보이는 사랑의 나라' 시민임이 분명하다, 저 바람처럼. 

 

 

 <출처> 2008.03.06 / 조선일보

  

       

...

  

 

안 보이는 사랑의 나라

 

 

     1. 옥저의 삼베

   

  중학교 국사시간(國史時間)에 동해변(東海邊) 함경도 땅, 옥저(沃沮)라는 작은 나라를 배운 적이 있습니다. 그날 발 꿈에 나는 옛날 옥저 사람들 사이에 끼여 조랑말을 타고 좁은 산길을 정처 없이 가고 있었습니다. 조랑말 뒷등에는 삼베를 조금 말아 걸고 건들건들 고구려(高句麗)로 간다고 들었습니다. 나는 갑자기 삼베 장수가 된 것이 억울해 마음을 태웠지만 벌써 때 늦었다고 포기한 채 씀바귀 꽃이 지천으로 핀 고개를 넘고 있었습니다. 드디어 딴 나라의 큰 마을에 당도하고 금빛 요란한 성문이 열렸습니다. 무슨 이유인지 지금은 잊었지만, 나는 그때부터 이곳에 떨어져 살아야 한다는 말을 들었습니다. 아버지, 어머니가 옥저 사람이 아닌 것 같은데도 혼자서 이 큰 곳에 살아야 할 것이 두려워 나는 손에 든 삼베 묶음에 얼굴을 파묻고 울음을 참았습니다. 그때 그 삼베 묶음에서 나던 비릿한 냄새를 나는 아직도 잊을 수 없습니다. 그 삼베 냄새가 구원인 것처럼 코를 박은 채 나는 누구에겐지도 모르게 안녕, 안녕 계속 헤어지는 인사를 하였습니다. 아무 것도 보이지 않아 헛다리를 짚으면서도. 어느덧 나는 삼베 옷을 입은 옥저 사람이 되어 있었습니다. 오래 전 국사 시간에 옥저라는 조그만 나라를 배운 적이 있습니다. 

   

     2. 기해년(己亥年)의 강(江)

  

  슬픔은 살과 피에서 흘러 나온다.
  기해(己亥) 순교(殉敎) 복자(福者) 최창흡

  이 고장의 바람은 어두운 강(江) 밑에서 자라고
  이 고장의 살과 피는 바람이 끌고 가는 방향(方向)이다.
  서소문(西小門) 밖, 새남터에 터지는 피 강(江)물 이루고
  탈수(脫水)된 영혼은 선대(先代)의 강(江)물 속에서 깨어난다.
  안 보이는 나라를 믿는 안 보이는 사람들.

  희광이야, 두 눈 뜬 희광이야,
  19세기 조선의 미친 희광이야,
  눈 감아라, 목 떨어진다, 눈 떨어진다.
  오래 사는 강(江)은 향기 없는 강(江)
  참수(斬首)한 머리에 떨어지는 빗물 소리는
  한 나라의 길고 긴 슬픔이다. 

    

     3. 대화(對話) 

  

  아빠, 무섭지 않아?
  아냐, 어두워.
  인제 어디 갈 꺼야?
  가 봐야지.
  아주 못 보는 건 아니지?
  아니. 가끔 만날 꺼야.
  이렇게 어두운 데서만?
  아니. 밝은 데서도 볼 꺼다.
  아빠는 아빠 나라로 갈 꺼야?
  아무래도 그쪽이 내게는 정답지.
  여기서는 재미 없었어?
  재미도 있었지.
  근데 왜 가려구?
  아무래도 더 쓸쓸할 것 같애.
  죽어두 쓸쓸한 게 있어?
  마찬가지야. 어두워.
  내 집도 자동차도 없는 나라가 좋아?
  아빠 나라니까.
  나라야 많은데 나라가 뭐가 중요해?
  할아버지가 계시니까.
  돌아가셨잖아?
  계시니까.
  그것뿐이야?
  친구도 있으니까.
  지금도 아빠를 기억하는 친구 있을까?
  없어도 친구가 있으니까.
  기억도 못 해 주는 친구는 뭐 해?
  내가 사랑하니까.
  사랑은 아무 데서나 자랄 수 있잖아?
  아무 데서나 사는 건 아닌 것 같애.
  아빠는 그럼 사랑을 기억하려고 시를 쓴 거야?
  어두워서 불을 켜려고 썼지.
  시가 불이야?
  나한테는 등불이었으니까.
  아빠는 그래도 어두웠잖아?

  등불이 자꾸 꺼졌지.
  아빠가 사랑하는 나라가 보여?
  등불이 있으니까.
  그래도 멀어서 안 보이는데?
  등불이 있으니까. 

  

  ―아빠, 갔다가 꼭 돌아와요. 아빠가 찾던 것은 아마 없을지도 몰라. 그렇지만 꼭 찾아 보세요. 그래서 아빠, 더 이상 헤매지 마세요. 

  

  ―밤새 내리던 눈이 드디어 그쳤다. 나는 다시 길을 떠난다. 오래 전 고국을 떠난 이후 쌓이고 쌓인 눈으로 내 발자국 하나도 식별할 수 없는 천지지만 맹물이 되어 쓰러지기 전에 일어나 길을 떠난다.

 

 

...

 

 

[시인의 산문]

    

1.
종교적 사고 방식이 곧 퇴행성이라고 속단해버리는 것에 나는 반대한다. 

 

2.
극심한 생활고와 어떤 종류의 버림받음에 대한 절망적 상태가 그에게 훌륭한 예술이나 문학의 출산에 큰 도움이 되어 온 것은 사실이다. 그러나 훌륭한 시문학이 결코 생활고와 절망적 상태를 필요로 하고 거기에서만 성립된다고 생각하는 것은 커다란 착각이다. 이러한 착각이 근래 특히 한국의 문학인 사이에 회자하고, 빈곤과 버림받음에 대한 극적이고 과장된 아우성만이 가장 긴장되고 절실하고 절정감을 주는 예술이라고 믿는, 맹목적이고 잘못 인도되는 행진은 멈출 때가 왔다고 믿는다. 이런 착각의 교정은 특히 세계 속에 한국의 시문학을 하루 속히 확립시키기 위해 절대로 필요한 조건이라고 나는 믿는다. 

 

3.
어쩌다가 나는 고국을 떠나 흘러다니는 이민자가 되었다. 떠나 살면서 더욱더 아름다운 모국어에 대한 사랑과 자랑을 지니게 되고, 내 모국의 이리저리 뚫린 골목길의 조그만 입김들이 만들어놓은 조그만 풀잎까지 그리워하며 살고 있다. 그래서 오래 버려두었던 길고 파란만장한 한국의 역사를 다시 한장 한장 정성들여 읽어가면서 지금 우리에게 절실히 필요한 것은 자기가 믿는 지식이나 정확성이나 엄정한 판단보다는 사랑과 이해와 조건 없는 포옹이라는 것을 깊이 느끼며 살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