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테일기

IDP : PIM 그리고 여행, 전략, HRD

단테, 2014. 1. 26. 22:51


- http://skccconsulting.tistory.com/61  

   

  

...

  

  

일요일, 도서관을 다녀온 화창한 주말의 끝은 IDP (Individual Development Plan)이라는 사내 명칭에 걸맞는 내 스스로의 개인경력계발계획 같은 것들을 생각해볼 차례... 이른바 PMT position, 즉 Project Management Team을 구성하고 있는 Key Position 10가지인 PM과 SM, PCM, PEM, PPM 그리고 Contract Manager와 PQAM, HSEM 또 CM 그리고 맨 마지막 포지션인 PIM (Project Information Manager) 중에서 굳이 제일 큰 가능성을 꼽으라면 단언컨대 맨 마지막에 꼽은 PIM이라 할 수 있겠다. - 실제로 이는 PCM 또는 Contract Manager와 같은, 종전의 기획실 업무들 중 상당히 연관이 깊은 분야가 제일 적당한 건 사실이나 그만큼 또 기술적인 '진입장벽'이 낮음을 뜻하며, 현실에서는 아이러니컬하게도 가장 경쟁이 치열한 Red Ocean Market이기도 한 셈... 고심을 거듭한 끝에, 아무래도 MBA 등 정식 학위를 선호하는 체제에서 또 아무래도 이공계 출신임을 고려한 이른바 '밥값'의 효용성을 따진다면 아무래도 내 출신과 전공을 아예 무시할 수 없는 노릇... 게다가 이른바 경영? 내지는 전략/기획/인사 등과 같은 낱말들의 집합군에 대해 어느 공간, 어느 자리에서든 필요로 한다는 점에서는 아예 또 이를 하나의 "Common of common"과도 같게 상정해볼 수도 있겠는데, / 서울에서 첫 직장 생활을 하던 그때도, 역시 내 전공은 이쪽 분야였기도 하며 그만큼 오히려 제일 잘할 수도... 

 

- S&P/HR이 상징하는, 일련의 극단적 평가에도 불구하고 이는 어디까지나 내 마음의 '고향'...

     

     

...

   

  

도서관에서 빌려온 두권의 여행도서, 이번은 일본이다. 

가장 가깝기도 하나 또 마음이 가장 멀리 있는 이 나라에 대해 굳이 해설을 덧붙여가며 알아볼 차례인 것도 운명일 테나, 그보다는 그저 안가본 나라 한군데에 대한 사전학습 차원? 

    

일본 최고 여행지를 찾아라  오사카 100배 즐기기  

  

   

...

 

 

매번 그렇듯, 전략기획/인력기획과 ERP 다음 세대에 관한 연구 내지는 새로운 것들을 배우는 일련의 과정 또한 늘 게을리할 수 없는 내 주전공 분야 중 하나 ; 

   

경영전략 수립 방법론  제4세대 HRD  경영 정보 시스템

  

오늘 빌린 이 세권의 책들도 모두 전략의 Toolkit, HRD의 신조류, ERP 분야의 외국도서라는 타이틀만으로도 충분히 일독을 권할만한 가치는 충분해 보인다. 

  

  

...

 

     

EPC Business가 갖는 다양한 속성, 그리고 기술지식들이야말로 현단계 내가 가장 필요로 하는 업무분야일 텐데... 오늘은 웹에서 구해 모은 몇가지 article들을 살펴봄으로써 이는 대체하도록 하겠고, 또 당장 내일부터 속행해야 하는 몇가지 프로젝트 업무들 역시 이에 비추어 고찰해보는 시간을 갖고자 함. ; 

   

1) 이른바 "PI" (Process Innovation)이 갖는 의의와 역할에 관한 고찰을 해보는 시간, 

www.slideshare.net/raghunathanjanarthanan/epc-presentation-robert-foxpresentation

     

2) Project Engineer 핸드북? 아무튼 Global Standard 격인 PE의 role을 따져보는 시간, 

www.slideshare.net/veeru1009/handbook-for-process-plant-project-engineers-peter-watermeye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