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잡동사니/뉴스레터

2016년 1월 1일 (금)

단테, 2016. 1. 1. 03:44

글 / 시를 여는 아침, 文士의 약속 (2016년 정초)  


- 오늘의 편지,   

   

     

          

[2016 경향 신춘문예] 시 부문 당선작

        

  

의자가 있는 골목 - 李箱에게    

    

        

아오?


의자에게는 자세가 있소


자세가 있다는 건 기억해둘 만한 일이오


의자는 오늘도 무엇인가 줄기차게 기다리오


기다리면서도 기다리는 티를 내지 않소


오직 자세를 보여줄 뿐이오


어떤 기다림에도 무릎 꿇지 않소


의자는 책상처럼 편견이 없어서 참 좋소


의자와는 좀 통할 것 같소


기다리는 자세로 떠나보내는 자세로


대화는 자세만으로도 충분하오


의자 곁을 빙빙 돌기만 하는 사람과는


대화하기 힘드오 그런 사람들은 조금 불행하오


자세에 대해서 자세히 모르는 사람들이오


의자는 필요한 것이오,


그런 질문들은 참 난해하오


의자를 옮겨 앉는다 해도 해결되진 않소


책상 위에는 여전히 기다리는 백지가 있소


기다리지 않는 질문들이 있소


다행히 의자에게는 의지가 있소


대화할 자세로 기다리고 있는


저 의자들은 참 의젓하오


의자는 이해할 줄 아오


한 줄씩 삐걱거리는 대화를 구겨진 백지를


기다리지 않는 기다림을 이해하오


이해하지 못할 의지들을 이해하오


의자는 의자지만 참 의지가 되오


의자는 그냥 의자가 아닌 듯싶소


의자는 그냥 기다릴 뿐이오


그것으로 족하다 하오


밤이오


의자에게 또 빚지고 있소


의자 깊숙이 엉덩이를 밀어 넣소


따뜻하게 남아 있는 의자의 체온


의자가 없는 풍경은 삭막하오 못 견딜 것 같소


의자는 기다리고 있소


아직도 기다리오 계속 기다리오


기다리기만 하오


여기 한 의자가 있소


의자에 앉아서


보이지 않는 골목을 보고 있소


두렵진 않소

   

       

■ [당선소감] 의자는 시를 낳는 성소…궁합 잘 맞는 난 행운아 

 

이 세상에는 의자가 참 많다. 카페에도 도서관에도 지하철에도 의자는 넘쳐난다. 아니다. 의자보다는 엉덩이가 훨씬 더 많다. 내게도 늘 의자를 그리워하는 엉덩이가 있다. 가끔 시를 쓰는 대신 차라리 나무를 심었다면 하고 생각할 때가 있다. 결국 나는 그 나무로 또 의자를 만들었겠지만 이제 의자와 나무가 같은 혈족이라는 걸 안다.

 

오늘은 잠시 의자와 떨어져 있었고 황송하게도 누워서 당선소식을 받았다. 몽중일까. 눈을 뜨고 있어도 꾸는 꿈처럼 더듬더듬 의자를 끌어당겨 앉아본다. 여전히 내 머리맡을 지키는 의자, 이 기회에 의자에게 한마디 안 할 수가 없다. 의자여! 정말 미안하다, 아니 참 미안했다, 그리고 다시 더 미안하겠다. 당선소감을 쓰는 지금도 나는 의자를 믿고 까분다.


나는 행운아다. 의자와 궁합이 잘 맞는 엉덩이를 갖고 있으니. 시를 빌미로 의자와 엉덩이 사이에서 벌어지는 오해가 즐겁다. 언젠가 삐거덕거리던 시들이 끄덕끄덕 고개를 흔들어주는 날들이 올까. 대화는 계속될 것이고 의자는 나의 모든 시들이 마지막으로 태어나는 성소다. 어떤 자세로 의자에 앉아야 할까 늘 함께 고민하는 ‘구밀’과 ‘13시’ 나의 시동지들과 행운을 나눈다. 의자에 항상 따뜻한 방석을 놓아주는 나의 가족 연, 동 그리고 남편 너무 고맙다. 심사를 해주신 이시영, 황인숙 선생님 그리고 손택수, 김행숙 선생님께도 감사를 드린다. 아울러 경향신문사에도 깊은 마음을 전하고 싶다.


영광은, 의자에게 바친다.

       

     

 | 변희수 (본명 변정숙) 

   1963년 경남 밀양 출생. 대구 거주 | 영남대 국문과 졸업 

 

 

■ [심사평] 기존 틀 차용했지만 사유를 끌고가는 의식 우뚝 

 

14건의 응모작이 예심에서 올라왔다. 그중 우선 고른 작품이 ‘의자가 있는 골목’ ‘벽과 대화하는 법’ ‘투명한 발목’이었다. 이 과정이 수월했다는 건 좀 서글픈 일이다. 새로운 종의 시를 포획하기를 기대하며 무엇이든지 빨아들일 준비가 돼 있는 심사자들의 눈에서 그토록 쉽사리 빠져나가는 시들이라니. 재량껏 성심을 다한 시들을 보내주신 분들께 이런 말씀을 드려 죄송하다. 아, 하지만 왜 그리 겉도는 거지? 붕붕 떠 있지? 한 걸음 더 성심을 담으시라. 진정을 담으시라. 하긴 열네 분의 시가 근사하면 얼마나 머리가 터졌을까. 고마운 일이다만.  

  

‘벽과 대화하는 법’은 감각적인 묘사가 돋보인다. 이이가 갖춘 표현력에 세상-사물을 읽는 힘, 인식의 힘이 더해지기를 바라며, ‘투명한 발목’과 ‘의자가 있는 골목’을 최종심으로 놓았다. ‘투명한 발목’은 섬세하고 예민하고 차분한 묘사와 어조로 독자를 시의 정황 속으로 천천히, 깊게 이끄는 시다. 그런데 이 매력적인 시에도, 흠을 잡자고 눈에 불을 켜니, 성근 부분이 있어 아쉽다. ‘의자가 있는 골목’을 당선작으로 정했다. “거울 속에는 소리가 없소/ 저렇게까지 조용한 세상은 참 없을 것이오”로 시작되는, 이상의 가장 널리 알려진 시 ‘거울’의 말투를 베껴서 쓴, 즉 이상 풍으로 쓴 시다. 새로운 시인을 가려 뽑는 자리에 기존 시인이나 시를 패러디함으로써 오마주를 보이는 시를 뽑는 게 마음에 걸렸지만, 이 틀 속에 자기 생각, 자기만의 세계가 담겨 있는 점을 높이 샀다. 사유를 길게 끌고 나가는 힘 있는 진술 속에 시인 의식이 우뚝하다. 그의 다른 응모작들도 두루 소재를 다루는 솜씨가 예사가 아니어서 믿음이 간다. 건필을 빌며 축하드린다!

       

                  

 <시인 이시영·황인숙>

     

                                                              

                   


- 편집하는 말,   

   

꽤 깊어진 새벽녘에 첫 글을 쓰는 마음가짐은 실로 몇년전 (혹은 몇십년전에) 그 느낌 그대로구나. 여전히 느려터진 넷북 앞에 앉아 욱신대는 몸뚱이를 추스르며 자판을 도닥거리는 시간들은 때때로 허송세월로 또 때로는 덧없는 부질없음에 불과한 짓들이었는지도 모르겠고... 

2016년, '한 소설가'에게 쓴 편지도 어느덧 제때를 찾은 기분. 그 약속을 지킬 때가 된 모양? 아니면 밀린 빚이라도 갚을 심경과 요량으로 또 무슨 다짐이라도 남겨두려는가. 

시절은 하수상하여 정의는 웃음거리가 됐고 패덕과 만용이 기세등등한 세월, 하나도 존중해본 적 없었던 대상들에 관하여 이제 무언가 발언이 필요한 시점이기도 하구나. 정정당당히 싸울 일. 또는 스스로와의 기나긴 싸움에 얽힌 일종의 매듭을 짓기 위함인지도 모르겠지만. 글도, 정치도, 경제도, 다 마찬가지일 테므로. 

늦은 밤에는 잠도 잦아들지. 예전에 쓴 '자장가'처럼 서둘러 동녘을 밝혀보려는 심경은 애틋하구나. 또 알랴, 그 누군가 있어 고요한 산행의 든든한 반려자 역할을 해줄지도 모르겠으니... 

 

스스로한테 철저할 법. 이게 곧 새해를 맞는 하나의 도리인 때문이기도 하며. 

                 


- 블로그의 글,     

- 인터넷의 글,     

- 그밖의 말들,      


* 글, http://blog.daum.net/dante21              


'- 잡동사니 > 뉴스레터'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16년 1월 3일 (일)   (0) 2016.01.03
2016년 1월 2일 (토)   (0) 2016.01.02
2015년 12월 31일 (목)   (0) 2015.12.31
2015년 12월 30일 (수)   (0) 2015.12.30
2015년 12월 28일 (월)   (0) 2015.12.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