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21세기 최전선 화두, 즉 "창의와 혁신" 그리고 "공유와 협업"이라는 두 기치는 사실 서로 상반된 이해관계와 경제사관으로부터 비롯된 두개의 큰 축에 관한 현대적 수사에 불과한지도 모르겠습니다. 인류의 역사는 19세기 사적 유물론이 주창한 '공산주의' 사회를 표방하며 러시아로부터 시작된 사회주의의 물결, 그리고 대공황 등을 겪으며 이를 극복하고자 태동한 케인즈 경제학의 힘, 또 그것을 다시 극복하기 위한 시도로 제안된 신자유주의 경제학의 토대 위에서 눈부신 생산력의 발전과 함께 지난 20세기를 영위해왔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것이며, 소비에뜨의 몰락과 포스트모던 사회학의 대두를 거쳐 밀레니엄 시대를 공고히 지배해왔습니다. 문제는 지난 2008년에 촉발된 이른바 '글로벌 경제위기'를 전후하여 100년 경영학의 힘이 갖는 한계와 반인류적 태도들에 대한 반성과 또 다른 극복에의 노력들이 논의되어왔고, 인터넷이 가져온 일상생활의 변화들과 미래사회의 모습은 또 다른 경제학을 요구하고 나서기 시작했습니다. 다만, 늘 미국 중심의 경영학을 수입해다 팔아먹는 오퍼상처럼 군림해온 국내 경영학의 형편상 이런 논의들에서 한참 비껴선 채로 지난 십수년여를 보낸 것으로도 읽혀집니다.
20세기말을 유난히 화려하게 또는 공포스럽게 물들이며 너도 나도 MBA 교재로 마치 경전을 돌려 읽듯 숭배해온 BPR 이론과 아이비리그 대학들의 명망있는 교수들, 그리고 HBR과 Anderson, McKinsey, PWC 같은 아주 생소한 단어들과 회사들의 명칭 역시도 이젠 거의 상식이 된 지금에 이르기까지, 또 제조업 혁명을 중심으로 한창 주가를 올렸던 TPM과 Six Sigma 그리고 일본 등을 중심으로 훨씬 활발했던 JIT와 MRP I/II/III, Kanban 같은 운동들, 더 나아가 FA로부터 CIM에 이르기까지의 첨단화 및 자동화 등은 아예 이른바 "PI (Process Innovation)"라는 용어로도 집대성되곤 했습니다. 막상 이것들이 그들 스스로 이상의 다른 무엇인가를 제대로 성취해내지 못하는 동안에도, 국내 대기업들이 주도한 혁신의 매개체는 어쩌면 기업 스스로의 자각과 니즈보다는 IMF 사태를 겪은 공포심과 그 이후에 전개된 '승자독식'의 처절한 정글 속에서 어떻게든 살아남고자 몸부림쳐온 오너 계열의 자생적 수단들에 주로 입각해 이른바 "Top-Down"의 미명하에 전개된 수많은 해외 프로그램들로 또 존재합니다. 그것들의 이름은 ERP며, SCM이며, 또는 KM과 CRM 그리고 BPM과 MBO에 이르기까지의 현학적 수사와 IT 솔루션들의 득세를 가져왔고, 반면에 수해에 걸친 반복적 학습효과들은 현업 거개의 피로감만을 가중시켜온 것 또한 불편한 사실입니다. (가장 최근에 이와 엇비슷한 구도로 유입한 World Economic Forum에서의 "4차 산업혁명" 논의 역시 끈질지게 경계와 회의적 시각을 갖고 실질적 편익에 관한 철저한 검토를 강조하는 맥락 또한 마찬가지입니다.)
또 한편으로는, 21세기 들어 숱하게 회자되곤 한 "웹 2.0"이나 "마켓 3.0/4.0" 같은 화두들도 지난 시대의 후광에서 전혀 자유롭지는 못한 채 오히려 그 담론의 범주 안에서 제대로 경제현상 전반에 대한 Perspective까지를 제공해주진 못했다는 점, 그것들이 리눅스 혁명과 위키피디아의 역설 그리고 "더 이상 파레토가 지배하지 않는, 롱테일의 패러다임"에 이르러 기존 체계에 대한 대단한 전복 내지는 극복을 자임했다손쳐도 이들 역시 마치 한때의 유행들처럼 또 다시 스멀대는 유령이 되어 철 지난 전단지마냥 그저 허공을 떠도는 공기의 잔재들로 부유하기만 합니다. 지난 시기의 '글로벌 경제위기'를 극복하기 위해 노벨경제학상 수상자이기도 한 폴 크루그먼 교수조차 기껏 "케인즈로 돌아가자!"는 구호를 외칠 뿐이었으며, 적어도 아직까지는 이 시대를 휩쓰는 뚜렷한 새 패러다임을 콕 짚어 이야기할 수 없는 까닭 역시 그런 연유들을 내포하고 있습니다. 또 한차례의 광풍처럼 서서히 몰아닥치고 있는, 혹은 이미 현재진행형이기도 한 "집단지성" 체제 그리고 "공유경제" 같은 내용들도 어쩌면 그 근간을 이루는 경제학사의 면면들이거나 최근의 사회적 풍토가 갖는 일정한 '수렴의 효과' 등을 간과해선 안될 것 같다고도 여겨집니다.
"공유경제"와 E&C Industry라는 화두,
일전에 Black & Veatch를 연구했던 적도 있습니다. Power Plant에서의 명실상부한 "Top-Tier"요 오랜 명성과 연혁을 자랑하는 그 회사의 IR Report에서 가장 눈에 띄었던 대목은 "우리는 종업원지주회사를 지향하며, 그 혜택을 통하여 온 구성원이 각자 자부심을 갖고 최고의 애사심으로 무장한 핵심역량을 보유하고 있다."는 선언적 문구였습니다. "공유경제"의 특징 중 하나인 "수익의 분배" 문제는 결국 개별 기업경영에 있어서 소유구조의 재편을 통해서만 가능해질 수 있는 일입니다. 좀 더 정확히 말하면 이 부분은 최근 가장 핫한 이슈 중 하나였기도 한 "사회적기업" 즉 주식회사의 지배구조를 탈피하려는 움직임과도 맞닿아 있습니다. 대표적 협동조합 기업인 썬키스트와 바르셀로나 구단을 자주 들먹이며 이에 관한 이론서들이 서점을 휩쓸던 시절도 벌써 몇년이 지난 유행이 되었지요... 가치사슬 전반에 걸친 고객과 공급자의 연계 내지는 통합 (이를 일컫는 또 다른 이데올로기적 수사는 다름아닌 "상생경영"이기도 합니다.)이 어쩌면 "수직계열화" 같은 독점적 수익구조를 노리는 탐욕에 불과하다며 "공유경제"의 본원적 측면에는 오히려 반한다는 점을 비판하는 학자들도 적지 않습니다. 요즘도 "공영방송"을 외치며 총파업을 강행중인 주요 지상파 방송들, 사상 초유의 "국민주" 모금을 통해 창간한 한겨레신문 같은 미디어들도 사실은 주식회사의 범주에서 그다지 크게 벗어나지는 않은 모양새들입니다. 더구나 요즘처럼 E&C Industry 전반에 걸친 위기가 논의되는 와중에, 또 구체적으로는 심지어 각자 처한 환경을 무릅쓰며 그저 회사의 위기에 동참하자는 취지 하나만으로 은행들을 찾아가 되도 않는 '땡빚'을 모조리 져서 우리사주를 최대한 취득하라고 독려해온 회사에서는 거꾸로 이런 얘기들이 어처구니가 없을 헛소리인지도 모르지만요...
"경험기반 지식산업"이라는 말. 딱 그말에 걸맞는 새로운 프로젝트들도 여러해에 걸친 시도와 좌절 끝에 하나둘씩 모습을 드러냅니다. 사실 이 프로젝트에 있어서 가장 걸출한 위상은 "Global CM Course" 같은 공신력 있는 프로그램을 탄생시켜 국내 유수의 대기업 역량들을 집대성하고 이를 통해 국가적 인재들을 양성한다는 꽤나 야심찬 노력들이기도 합니다. 허나, 여러 사정들로 인해 아직까지는 뚜렷한 족적을 남기지도 못했고 여전히 다수의 '핵심인재'들은 해외 MBA Course로 이를 대체하는 아쉬움도 남습니다. (MBA 과정과 Project 사이에 그 얼마만한 상관관계가 있으랴만, 전사 지원조직 같은 데서의 필요는 부분적으로 이해할 법도 합니다.) 그나마 여러 우여곡절 끝에도 가장 뛰어난 성취를 거둔 편은 역시 국내 최고 학부인 서울대를 통해 가시화되었는데, 이름하여 "EDRC" (Engineering Development & Research Center)입니다. 다수의 대학, 학회/기관 및 일부 대기업들이 함께 참여하는 이 프로젝트는 국내 공통의 커리큘럼을 개발하고 실험실을 갖추고 또 시장변화에 대응하는 모습 등을 보여주면서 나름대로는 제 역할을 부분적으로 지속하는 편입니다. 다만, 이 EDRC 같은 '협업적 장치'가 지극히 사사롭고 탐욕스러운 대기업들의 속성을 과연 어떻게 '국가적 차원'의 R&D 영역으로 승화시킬 수 있을까에 대해선 좀 더 천착해가며 추진될 필요가 있겠습니다. 그저 그런 '정보공유'는 일반 대학과정에서도 충분히 진행 중이며, 심지어 타 협회나 기관에서도 유사한 프로그램은 넘치고 넘칩니다. 실제 현업에서 필요로 할만한 진짜 '노하우' 및 선진기술 등이 과연 어떤 구체적 '협력관계'를 통해 공유 및 활용될 수 있고 또 그것을 통해 각 개별 기업들이 얻는 편익에 대해서도 충분한 보장이 선행되어질 수 있어야 한다는 문제인 것만은 짚어둘 대목이겠습니다. 국내 플랜트 유관업체들의 최대 현안이자 고민거리 중 하나인 "실제 Project Data"의 기근 현상이 그 대표적 예입니다. 이 부분만큼은 사실 대기업들이 창고 안에 먼지가 가득 쌓이도록 제대로 활용조차 않고 있는 다양한 Proejct 자료들을 기꺼이 제공하고 공유함으로써 일정 부분 극복할 수도 있겠지만, 워낙 대기업들의 생리가 "Garbage도 다 내꺼다" 같은 수준이니 단기에 이 문제가 쉬이 해결될 가능성은 그리 높지 않다고도 봅니다. (오히려 "지식경영"과 "정보보안" 등의 모토는 이 부분의 사유화를 더더욱 심화/확장시키는 방향으로 내몰기도 하고요.)
"공유경제" 여부를 떠나 현단계 비즈니스 모델의 대표적 화두로 떠오르고 있는 단어는 다름아닌 "플랫폼"일 것 같습니다. 아마도 이 Industry에서는 "Delivery Platform"의 최강자가 곧 E&C의 최강자로 군림하게 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Bechtel과 Fluor 또는 다수의 Europe 업체들이 오랜 기간 동안 시행착오를 견디며 끝끝내 구축해온 과제들 또한 이에 상응하는 대목들이고, 또 그만한 덕목과 위력을 글로벌 시장에서도 확연히 목격하는 중이기도 합니다. (물론 이 "플랫폼" 비즈니스가 전적으로 "공유경제"인 것만은 아닙니다. 충분히 사유화와 독점적 지위 확보만을 목적으로도 공고히 "플랫폼"을 구축해온 애플과 MS도 있었으니까요.) 전방위적 설계 행위와 글로벌 조달 거점, 다양한 지역과 환경에서의 자원동원능력 등은 이미 Global Standard라 불러도 무방할만큼 발전되어 온 무기들이기도 합니다. 물론 이 문제는 비단 특정 개별기업 자체만의 문제가 아닌, 적어도 국가적 차원에서 연구 및 개발되어야 할 사안들을 포함하기도 합니다. 예를 들면 올해 국책과제로 추진을 예정하고 있던 "국산 3D CAD 솔루션 개발" 과제 같은 경우는 과연 이 소박한 프로젝트가 저 걸출하기만 한 Intergraph, Bentley, 또 Autodesk 같은 글로벌 강자들과의 경쟁에서 살아남기라도 할까 하는 커다란 회의 속에 마치 아래아 한글과 V3가 성취한 일종의 '신화'에라도 도전하는 것만 같은 걱정섞인 격려 속에 진행될 형편이기도 하고요...
"Digital Transformation"에 걸맞게 좀 더 상상력을 동원한다면, 이 "플랫폼" 또는 "공유경제"의 측면을 다음과 같은 테제들로도 치환해볼 수 있지 않을까 하는 생각들도 있습니다.
1. 발주처와 계약자 간의 상생 및 협력 구도를 상정하려는 노력. 예를 들면 LSTK 같은 계약방식들이 점차 Cost+Fee 구조로 전환되면서 대신에 보다 견고하고도 정교한 사업관리 방법론들이 표준으로 대두될 가능성 (또는 이들 역시 한개의 운명체로 결합된 현재의 BOT 형태나 PPP 사업 등이 보다 진보적 형태로 제시되며 새로운 수익구조를 형성하는 부분에 관한 연구)
2. 종전까지는 B2B 형태의 비즈니스를 취해왔다면, 이제 이를 B2G 또는 G2G 영역으로 과감히 확장해 아예 정부 차원의 비즈니스를 검토해보는 노력. 문제는 또 이 비즈니스 모델이 더 이상 선진국에 의한 후진국 착취 모델로 비화되는 일이 없도록 충분히 고려된 국제적 합의 내지는 규제 등이 공고화될 가능성 (현재의 FDIC과 ISO 등도 향후 방향을 가늠해볼 수 있을만한 대목)
3. 가장 적극적이면서도 도전적인 형태로서는 Process & System을 아예 '공유'하고 또는 "Start-Up"으로 전환시킴으로써 자사만의 Practice들을 업계에 전파 및 문화적 동질감을 함께 꾀하는 한편, 그 보상으로는 이를 소비하는 업계와 인재들의 정보와 지식들을 활용하는 방편으로서의 특정한 '플랫폼'에 관한 스터디 (다만 그 편익이 잘해야 잠재적 엔지니어 인력 양성과 포섭, 협력업체들의 숙련도 향상 내지는 자잘한 군소 Project에 특화된 방법론 차원에 불과할 가능성이 크므로 대기업들이 이런 시도를 스스로 나서서 할 니즈는 별로 없는 편)
...
'단테메모'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제][경영] EVM (0) | 2017.11.23 |
---|---|
[개인][일상] 아지트 (0) | 2017.11.11 |
[경제][회사] '전략기획실'을 추억함 (0) | 2017.10.28 |
[경제][경영] "리모컨" 이론을 생각하며, (0) | 2017.10.26 |
[개인][일상] 단풍이 든다 (0) | 2017.10.26 |